2020 팜 테크 포럼 전체일정 (온라인 진행)
(2020 간편식과 밀키트 시장) |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
|
(오아시스마켓의 신유통 사례와 한국 온라인 유통 전망 중심으로) |
오아시스마켓 상품 담당이사 |
|
(데이터 기반 농업과 농산물 거래의 패러다임 변화) |
팜에어 대표/록야 대표 |
|
(AI를 적용한 양돈농장의 변화 사례와 축산의 4차 혁명 전망 중심으로) |
한국축산데이터 대표 |
|
(글로벌 애그테크 트렌드 및 디지로그 시즌 2) |
에이넷테크 대표 |
|
(국내외 식물공장 시장의 현황과 전망 중심으로) |
팜에이트 대표 |
|
(세계 컨테이너팜 시장 현황 및 K-컨테이너팜 계획 및 전망 중심으로) |
엔씽 대표 |
|
(데이터 농업 서비스를 통한 농업 혁신) |
그린랩스 대표 |
|
(네덜란드의 정밀 농업을 중심으로) |
네덜란드 농업 자연 식품품질부 선임 정책자문관 |
2020 팜 테크 포럼 연사소개(온라인 진행)
Session 1. 첨단 기술을 만난 농식품시장, 판이 바뀐다
농식품 시장과 식품 유통업계의 공식이 바뀌고 있다. 첨단 IT와 모바일 기술은 ‘당일 배송’, ‘새벽 배송’ 등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시장과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했다.
농작물 생육 기간을 크게 단축시킨 식물공장의 등장은 신선식품 유통의 개념을 근본부터 바꾸고 있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식생활 변화 트렌드를 제시한다. 특히 코로나19로 확산된 언택트(비대면) 생활 방식은 식품 시장에도 커다란 변화를 몰고 왔다.
식품 시장의 판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는 어디서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설명한다.
한문경 오아시스마켓 상품 담당 이사는 온라인 신선식품 유통 시장의 경쟁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코로나 영향으로 모바일 유통 및 새벽배송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출혈 경쟁까지 불사하는 치열한 시장에서 흑자를 유지하고 있는 오아시스마켓만의 비결을 엿볼 수 있는 기회다.
권민수 팜에어 대표는 지금까지 주로 생산에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 농업을 농산물 유통으로까지 확장해 활용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한다. 농업법인 록야를 창업,
연 매출 100억원이 넘는 기업으로 키운 권 대표는 연 100조원대 농산물 거래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포착했다. 최근 개발한 한국농산물가격지수(KAPI)와 AI 기반 농산물 시세 예측 시스템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농작물 생육 기간을 크게 단축시킨 식물공장의 등장은 신선식품 유통의 개념을 근본부터 바꾸고 있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식생활 변화 트렌드를 제시한다. 특히 코로나19로 확산된 언택트(비대면) 생활 방식은 식품 시장에도 커다란 변화를 몰고 왔다.
식품 시장의 판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는 어디서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설명한다.
한문경 오아시스마켓 상품 담당 이사는 온라인 신선식품 유통 시장의 경쟁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코로나 영향으로 모바일 유통 및 새벽배송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출혈 경쟁까지 불사하는 치열한 시장에서 흑자를 유지하고 있는 오아시스마켓만의 비결을 엿볼 수 있는 기회다.
권민수 팜에어 대표는 지금까지 주로 생산에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 농업을 농산물 유통으로까지 확장해 활용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한다. 농업법인 록야를 창업,
연 매출 100억원이 넘는 기업으로 키운 권 대표는 연 100조원대 농산물 거래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포착했다. 최근 개발한 한국농산물가격지수(KAPI)와 AI 기반 농산물 시세 예측 시스템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1. 빅데이터로 분석한 한국인의 식탁의 변화
(코로나19 이후의 식품시장 전망 중심으로)
(코로나19 이후의 식품시장 전망 중심으로)

강연자 |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서울대 푸드비즈랩 소장
학력
ㆍ서울대 농생대 학∙ 석사
ㆍ뉴욕주립대 경영학 박사
ㆍ뉴욕주립대 경영학 박사
경력
ㆍ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및 푸드비즈랩 소장
ㆍKAIST 경영과학과 교수
ㆍ한국정보통신대 IT경영학 교수
ㆍKAIST 경영과학과 교수
ㆍ한국정보통신대 IT경영학 교수
연사소개
자칭 ‘문란한 식욕’의 소유자다. KAIST 경영과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더 잘 먹고, 잘 마시고, 잘 노는세상을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로 자리를 옮겼다. 농업, 식품, 외식업까지 아우르는 먹거리 종합연구소 푸드비즈랩을 설립해 잘 먹고, 잘 마시고, 잘 노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생각을 실천에 옮기고 있다. 음식 소비 트렌드를 연구해 비즈니스화하고, 농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도약시키는 것을 소명으로 생각하고 있다
2. 유통혁명 중심에 선 새벽배송…국내 유일 ‘흑자 새벽배송’의 비밀
(오아시스마켓의 신유통 사례와 한국 온라인 유통 전망 중심으로)
(오아시스마켓의 신유통 사례와 한국 온라인 유통 전망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