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농업] “수출 유망국에 스마트팜 데모온실 구축...수출거점으로”

산업동향
작성일
2023-04-11
조회
529

#스마트농업 정책방향
“2027년까지 지역특화 임대팜 15곳 구축”

임대 스마트팜 장비 등 지원 확대
밭작물 시범모델 구축, 확산 모색
스마트팜 기자재 표준화도 추진

▲서준한 농식품부 스마트농업정책과 과장=농가 인구가 감소하는 동시에 고령화되고 있다. 기후변화 심각해진다는 사례가 많이 나온다. 농업의 지속가능성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2050년이 되면 지구 인구가 현재보다 1.5배 정도 늘어난다고 한다. 농경지를 더 확대해 식량을 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스마트농업 아니고는 답이 없다고들 한다.

농산물 생산부터 유통까지 디지털 전환을 해보자는 것이 스마트농업이다. 스마트팜 도입으로 생산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첨단온실로 보면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33.7% 증가했고 자가 노동 시간은 12.5% 줄었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세계 스마트농업 시장규모가 2020년에 135억 달러였는데 2025년에 216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정밀농업 분야는 빠른 성장이 예상된다. 2020년 64억 달러에서 2025년에 110억7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시설원예 분야 스마트팜 보급 면적은 2022년 누계 7115ha에 달한다. 스마트팜 도입 만족도 조사에서도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67%로 높았다.

정부는 2022년 10월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민간주체 육성과 스마트농업 확산, 성장기반 강화 등이 주요 골자다. 이를 통해 기업의 스마트팜 전문 기술자와 농업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청년농이 온실을 짓기엔 큰 부담이 있다. 그래서 정부의 임대 스마트팜에서 10년 동안 창업농에 필요한 종잣돈을 모을 수 있도록 지원하려고 한다. 장비 사용과 서비스 관련해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 첫 번째다.

두 번째로는 ‘성주참외’처럼 재배가 집단화된 곳에 스마트팜을 구상 중이다. 밭작물의 경우 특성이 조금씩 달라서 시범 모델을 만들고 조금씩 확산해 나가겠다. 스마트팜 농가지원과 관련해선 임대로 시작을 하려고 한다.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면 시공업체들의 매출로 이어지고 농민들은 장기간 저렴하게 임대할 수 있다. 스마트 장비 보급과 관련해서는 센서, 영상, 제어, 정보시스템 등을 정부가 제공하려고 한다. 데이터를 쌓아는 뒀는데 현재는 활용이 안 되고 있어서 개선하고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

정부는 스마트팜 혁신벨리를 앞으로 넓혀가려고 한다.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을 계속해서 지어나가겠다. 지역특화 임대팜은 2027년까지 혁신벨리를 포함해 15개 정도를 구축하려고 한다. 노지 스마트농업은 작년에 괴산에 콩, 안동에 사과를 구축한 데 이어 올해는 3군데를 더 할 생각이다. 다른 작물도 테스트 할 생각이라서 의성에 마늘을 준비 중이다.

스마트팜 기자재 표준화도 넓혀가겠다. 농기자재 업계로서는 이것이 불편할 수 있어도 농업인 입장에선 표준화 돼야 한다. 또 농협 같은 데서 스마트팜에 관계된 자재도 계통구매하고 사후관리를 해야 하는 게 올바른 방향이라고 보고 있다.

한국형 데모온실을 카자흐스탄, 베트남, 호주 등 해외 수출 유망국에 1ha 규모로 구축했고 기업의 수출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현지인 교육과정과 현지 마케팅과 같은 ‘기업 활동’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

.

기사 전문보기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http://www.agrinet.co.kr)